1. 용어 기본형에는 8개의 타입(자료형)이 있으며, 크게 논리형, 문자형, 정수형, 실수형으로 구분 논리형: boolean - 논리값을 저장, true/false 중 하나를 값으로 갖음 문자형: char - 문자를 저장, 변수에 하나의 문자만 저장 가능 정수형: byte, short, int, long - 정수를 저장, 주로 int를 사용 실수형: float, double - 실수를 저장, 주로 double을 사용 ※ 참고: 문자형 char는 문자를 유니코드(정수)로 저장하기 때문에 boolean을 제외한 다른 기본형과 연산과 변환이 가능함 2. 변수 종류와 크기 정수형의 경우, 각 타입마다 저장할 수 있는 값의 범위가 달라 범위에 맞는 타입을 선택하면 됨 일반적으로는 CPU가 가장 효율적으로 처리할 ..
💻 프로그래밍

1. 용어 기본 클래스(base class): 상속해주는 클래스 > 부모 클래스 파생 클래스(derived class): 상속받는 클래스 > 자식 클래스 업 캐스팅(up-casting): 파생 클래스 포인터가 기본 클래스 포인터에 치환되는 것 다운 캐스팅(down-casting): 기본 클래스의 포인터가 파생 클래스의 포인터에 치환되는 것 ※ 업 캐스팅/다운 캐스팅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포인터의 개념을 먼저 익히기 2. 클래스 상속 기본 클래스의 속성과 기능을 파생 클래스에 물려주는 것 중복된 기능을 기본 클래스로 작성, 보다 자세한 기능은 파생 클래스로 작성 예시) Person Student Worker Programmer 잠자기 먹기 잠자기 먹기 공부하기 잠자기 먹기 일하기 잠자기 먹기 일하기 코딩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