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용어

기본형에는 8개의 타입(자료형)이 있으며, 크게 논리형, 문자형, 정수형, 실수형으로 구분

  • 논리형: boolean - 논리값을 저장, true/false 중 하나를 값으로 갖음
  • 문자형: char - 문자를 저장, 변수에 하나의 문자만 저장 가능
  • 정수형: byte, short, int, long - 정수를 저장, 주로 int를 사용
  • 실수형: float, double - 실수를 저장, 주로 double을 사용
    ※ 참고: 문자형 char는 문자를 유니코드(정수)로 저장하기 때문에 boolean을 제외한 다른 기본형과 연산과 변환이 가능함

 

2. 변수 종류와 크기

정수형의 경우, 각 타입마다 저장할 수 있는 값의 범위가 달라 범위에 맞는 타입을 선택하면 됨

일반적으로는 CPU가 가장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int를 많이 사용

효율적인 실행보다 메모리를 절약하려면 byte나 short를 선택

종류/크기 1  byte 2  byte 4 byte 8 byte
논리형 boolean      
문자형   char    
정수형 byte short int long
실수형     float double

💡외우기 쉬운 방법!

  • boolean은 true/false 두 개의 값만 표현하므로 가장 작은 크기인 1 byte
  • char은  유니코드(2 byte 문자체계)를 사용하므로 2 byte
  • byte는 크기가 1 byte라서 byte
  • int(4 byte)를 기준으로 짧아서 short(2 byte), 길어서 long(8 byte) : short > int > long
  • double은 float보다 두배의 크기(8 byte)를 갖기 때문에 double

 

3. 질문

Q: string 타입은 Java에서는 변수의 기본형이 아닌가? 왜 대문자인가?

A: String은 변수의 기본형이 아닌 클래스이기 때문


출처: Java의 정석 3rd Edition

'💻 프로그래밍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Java] 형식화된 출력 - printf()  (0) 2022.07.23